횡단보도에 서있던 학생

출근길에 지하철역으로 가기 위해서 마을버스를 타야 한다. 집에서 공원쪽 샛길을 통해서 나오면 버스가 다니는 길이 있고 차가 그다지 빠르게 달리지 않는 왕복 2차선 도로를 건너면 바로 버스 정류장이 있다. 집에서 버스가 도착하는 시간을 보고 나가지만 때로는 버스가 예상보다 빨리 도착할 때가 있다. 이런 이유로 횡단보도를 좀 급하게 건너는 편이다. 물론 사람이 건너려는 기색이 보이면 차는 당연히 횡단보도 앞에서 멈춰야 한다는 생각도 있다. 미국에서는 횡단보도 저멀리서 사람이 걸어오면 차가 미리 정지해 있어서 굉장히 부담스러웠던 경험이 있다. 버스정류장에 도착했더니 버스 도착까지는 아직 4분 정도가 남아있었다. 내가 건너온 횡단보도에는 중학생처럼 보이는 학생 한 명이 서있었다. 차들은 간간히 지나다녔지만 길을 못건널 정도로 위협적이지는 않았다. 학생이 건널 의도가 있는지 없는지 점차 궁금해졌다. 차들이 간헐적으로 지나갔고, 난 계속 횡단보도를 지켜보고 있었다. 양방향 모두 차가 완전히 오지 않는 시점이 되자 학생은 건널목을 건넜고, 반대편에서 기다리고 있던 친구들과 인사를 나누었다.

좀 뜻밖이었다. 내가 움찔거리면서 횡단보도로 진입하려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운전자들을 멈추게 만드는 액션이겠지만, 횡단보도 앞에서 정승처럼 서있는 액션 역시도 운전자들을 멈추게 하는 액션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심지어 미국처럼 횡단보도 앞에서 차량이 멈추는 문화를 만들기 위한 더 적합한 액션은 점잖은 기다림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횡단보도에서 덤덤하게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그 모습을 보고 정지해 주는 차량들이 많아지고 그렇게 차량이 보행자를 보호하는 문화가 점차 만들어지는 것이 아닐까. 그 학생 세대가 볼 때는 횡단보도로 움찔거리며 전진하는 내가, 보행자를 보고도 속도를 줄이지 않고 지나치는 운전자와 동일한 미개인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난 세대에서 당연한 것들이 요즘은 당연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기는 쉽지 않다. 차 안에 재떨이가 달려있었던 '빨리빨리' 대변되던 8~90년대를 지나, 이제는 여유를 가지고 선진국이 될 수 있는 시점에서 어린 친구들에게 나의 행동이 어떻게 비춰질까 고민하게 되는 출근길이었다.


Untitled

상투적이지만 손톱 같다


만들어진 불행

누군가의 낙원은 누군가의 지옥 위에 세워졌음을. 행복을 기대하며 시작한 장소는 불행한 기억을 가진 장소로. 새로운 행복을 찾아 떠난 곳은 새로운 불행이 시작되는 곳으로. 더 불행해지게 더 불행해지게.


불행한 삶

53평의 번듯한 집과 번쩍이는 플래그십 세단과 하이엔드 오디오 시스템과 최고급 카메라와 렌즈들. 예전이라면 엄두도 못냈을 것들을 소유하고 있다. 그런데 예전보다 점점 행복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꽁냥거리며 15평의 오피스텔에서 새로운 시작을 하려는 신혼부부의 설렘이 좋다. 지나가는 외제차를 보며 언젠가는 나도 살 수 있을거라 생각하며 사진을 찍으러 걸어다니던 그 때가 좋았다. 더 가질수록 행복하지 않지만, 이제 와서 덜 가진다고 행복한 것도 아닐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