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행한 삶

53평의 번듯한 집과 번쩍이는 플래그십 세단과 하이엔드 오디오 시스템과 최고급 카메라와 렌즈들. 예전이라면 엄두도 못냈을 것들을 소유하고 있다. 그런데 예전보다 점점 행복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꽁냥거리며 15평의 오피스텔에서 새로운 시작을 하려는 신혼부부의 설렘이 좋다. 지나가는 외제차를 보며 언젠가는 나도 살 수 있을거라 생각하며 사진을 찍으러 걸어다니던 그 때가 좋았다. 더 가질수록 행복하지 않지만, 이제 와서 덜 가진다고 행복한 것도 아닐테니까.


내로남불에 대해서

인간의 오랜 본성인 내로남불은 옛속담에서도 볼 수 있다. 완전하게 동일한 뜻은 아니겠지만 '핑계 없는 무덤 없다'는 속담을 보면 내로남불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빽빽하게 무덤들이 줄지어 있는 공동묘지가 떠오른다. 그 많은 무덤 중에서 핑계없는 무덤이 없다는 말이다. 내가 한 이상한 일들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이유가 있었다. 나의 가장 치명적인 실패조차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 있었을 것이다. 반면 우리는 남의 행동에 대해서는 서릿장 같은 잣대를 적용한다. 원칙적으로 잘못된 일이고 비판 받아 마땅하다. 그들의 어줍짢은 사과는 사과문의 형식에 맞지 않는 변명일 뿐이다. 사과를 하려면 사과만 해야지 이유를 늘어놓는 것은 사과문을 가장한 변명문이라고 생각하며, 대중들은 '순수한' 사과를 끊임없이 요구한다. 각각의 무덤에도 핑계가 있다. 핑계는 곧 서사다. 결과로 봤을 때는 하찮기만 한 죽음, 심지어 악인의 죽음에조차 서사가 있다. 인간은 애초에 내로남불 하게 이기적으로 생겨먹었지만 서사를 통해서 공감하게 만들어지기도 했다. 내로남불은 오직 나만을 위한 공감이고, 서사를 따라가다 보면 다른 사람에게 공감하게 되고 심지어 악인의 행적에도 불쌍하게 여길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인간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범죄자에게 서사를 입히지 말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범죄자에게는 공감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철저하게 내로남불의 태도로 그들을 단죄하면 되는 것이다. 결국 내로남불과 공감은 다른 것이 아닌 하나의 부모에서 나온 쌍둥이 같은 것이다. 그들의 사정을 모를 때 나는 나의 잣대로 나의 이익만을 위해 행동한다. 그들의 이야기를 듣기 시작하면 감정이입이 되고 같은 편이라는 느낌이 든다. 직장생활도 마찬가지다. 같이 고생하고 회식을 하며 흘러왔던 서사는 그들을 같은 편으로 만들어 준다. '이웃의 신발을 신고 한참을 걸어보기 전에는 그들에 대해 말하지 말라'는 인디언 속담이 있다고 한다. 결국 인간이란 태어날 때부터 우리편 상대편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은 이야기를 많이 공유한 사람이 같은 편이 되는 것이다.


OTP의 원리

인터넷 연결이 없는 상태에서 OTP는 특정 숫자를 생성해내고, 그것을 인증 목적으로 사용하는 원리가 너무 궁금했었다. ChatGPT가 다 설명해 주었다.

https://chat.openai.com/share/d9d017cb-f8bb-4175-bfe8-1cb1b302e339


패션과 유행

패션과 유행은 더 낫고 못함이 아닌 그저 지난 세대와 다름의 표현이다


매몰비용

후회, 회한, 그리움, 자책 등은 모두 과거를 향해 있는 감정이다. 이런 것들을 모두 퉁쳐서 매몰 비용으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살아가는데 매몰 비용을 무시하는 것은 매우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처사이지만, 이것이 사람다운 것인지는 별개의 문제다.


콩이의 비밀

이 놈의 강아지가 우리가 자고 있으면 혼자 소파 위에서 자고 있다. 내가 나가면 폴짝 뛰어서 내려오기도 하지만, 많이 졸릴 때는 들킨 것에 아랑곳 하지 않고 계속 자리를 지킨다. 강아지가 소파 위에 혼자 자고 있는게 이게 맞는건가...


그 때는 옳았고, 지금은 틀리다. 기준은 힘 있는 자가 결정한다.


개인주의가 가능할까?

피해를 주지 않고 살아가기는 가능한 것일까? 회식을 극혐하는 내향형이 있고, 회식과 워크샵을 갈 것을 주장하는 외향형이 있다. 내향형은 날 그냥 내버려두라고 생각하지만, 외향형은 같이 회식을 해야 하기 때문에 내향형을 내버려 둘 수가 없다. 이런 상황에서 회식을 권하는 외향형은 내향형에게 피해를 주고 있는걸까? 아니면 어울려 살아가는 사회에서 외향형의 사교 욕구를 채워주지 않는 내향형이 외향형에게 피해를 주는걸까. 사회에 만연해 있는 기독교에 대한 거부감도 비슷한 것 같다. 그들을 '개독'이라 부르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는 기독교인들이 무교에게 피해를 준다는 것이다. 멀쩡하게 살고 있는 사람에게 예수를 믿지 않으면 지옥에 간다고 악담을 퍼붓거나, 이야기만 시작되면 교회를 가야한다고 전도를 한다. 이것은 기독교인이 무교에게 피해를 주는건가? 예전 같으면 가만히 있는 나를 왜 건드리냐고 피해 주지 말라고 단순하게 소리칠 문제들이 그렇게 쉽지 않은 문제로 느껴진다.


유튜브 채널 개설 일년 후

지난 4월 초 챗GPT 영상의 폭발로 유튜브 수익화 조건을 만족하게 되었다. 기존 2천명 정도의 구독자에서 빠르게 2천명이 더 늘어났다. 단기간에 늘어난 2천명은 내 채널의 충성 시청자라고 보기 힘든 허수에 가깝다. 실제로 구독자가 두 배 정도 늘어났지만 그 전후로 시청시간은 괄목할만한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오늘 하고 싶은 이야기는 멤버십을 통한 수익화 이야기다. 기존 내 영상을 보고 너무 도움이 되겠다고 한 사람들, 멤버십이 있다면 반드시 가입하겠다던 사람들은 연기처럼 사라져 버렸다. 결국 컨텐츠에 대한 만족은 '무료임을 전제로 한' 만족감인 것이다. 멤버십 가입을 촉진하기 위해서 유튜브에서는 여러가지 제안을 한다. 영상 중에 멤버십에 대해 언급을 하라든가, 멤버십에 대한 혜택을 차별화 하라는 등의 이야기다. 한 두 달 실험들을 해보며 내 채널의 멤버십은 그런 식을 활성화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확고해졌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내가 운동을 하고 싶어서 헬스장에 등록해서 즐겁게 지내고 있는데, 옆에 있던 트레이너가 와서 PT를 받아볼 것을 권유한다. PT를 받으면 더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겠다는 생각은 하지만 굳이 그 정도까지 나는 운동을 하고 싶지 않다. 그런데 주기적으로 트레이너는 옆에 다가와서 PT를 받아볼 것을 넌지시 권한다. 나는 점차 부담스러워서 헬스장을 가지 않게 된다. 이것이 지금 내 유튜브 채널에서 벌어지고 있는 시나리오다. 내가 멤버십 언급을 하면 할수록 조회수와 구독자가 줄어든다 (또는 증가세가 줄어든다) 결국은 타겟 고객의 문제다. 내가 큰 돈을 내고 PT를 받는다면, 나는 이미 PT의 유용성에 대해서 느끼고 마음의 결정을 내린 상태이다. 그렇다면 내 채널의 멤버십 역시도 이런 주제에 대해 심도있게 공부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 사람이 대상이어야 한다. 라이트한 시청자들에게 자꾸 "PT"를 권하는 것은 딱히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멤버십 영상 홍보 게시물을 모두 삭제 했다. 영상 내에서 멤버십 홍보 배너가 딱 두 번씩 뜨는 것만 남겨 두었다. 타겟 고객을 설정하고 그들이 원하는 것을 예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컨텐츠 분야에서는 '나다움'을 잃지 않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돈을 받는 고객을 만족 시켜야겠다는 부담감은 점차 나답지 못한 컨텐츠를 만들고 이것은 기존에 내 컨텐츠에 만족하던 시청자들도 떠나게 만든다. 1. 날파리 같이 귀찮게 홍보하지 않기 2. 시청자를 고려하되 나다움을 잃지 않기 개설 후 일 년이 지난 시점 새로운 실험이 필요한 시점이다.


푸틴의 눈빛

난 푸틴의 강인해 보이는 눈빛 속에서, '내가 찐따가 되면 어쩌지...'라는 두려움이 같이 보이는데 같은 INTJ라 그런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