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어당김의 법칙을 그럴듯하게 포장한 OKR
끌어당김의 법칙이라는 것이 유행한 적이 있습니다. 자신이 꿈꾸는 미래를 그리고 자기 암시를 하면 우주의 기운이 모여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허무맹랑한 얘기인데요. 이 기법에서는 종이에 자신의 목표를 적어놓고 항상 읽어 보라고 합니다. 아침 저녁 큰 소리로 목표를 외치라고 하기도 합니다. 이 약팔이 같은 방법에 사람들은 불신을 표하고 진저리를 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이 미신같은 얘기를 그럴듯하게 포장해서 실리콘밸리의 유명한 기업들까지 도입한 것이 있는데요. 바로 OKR 이야기입니다. 끌어당김의 법칙에 대한 불신이 왜 생기기 시작했는지 생각해보면, OKR에 대한 불신과 오해가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라는 것도 자명해 보입니다. 결국 어떤 좋은 기법들도, 그것을 이해하고 실행하는 것은 불완전한 사람이거든요. (애자일도 그랬었죠…)
먼저 끌어당김의 법칙이 유용한 이유에 대해 얘기해볼까 합니다. 우주의 기운이 다가온다느니, 온 우주의 주파수와 내 목표의 주파수가 일치한다느니 하는 얘기는 하지 않을겁니다. 내가 지금 100억대의 부자가 되겠다고 목표 설정을 한다고 해보죠. (전 실제로 이런 목표를 잡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람들이 생각할 때는 미친 목표라고 생각하겠죠. 이게 바로 OKR에서 말하는 문샷골입니다. 달나라에 가겠다는 목표는 기존 사람들에게 미친 목표였겠죠. 하지만 이런 미친 목표를 여전히 가진 기업이 있습니다. 화성에 가고 싶어하는 어떤 사람이 떠오르네요.
미친 목표를 세우는 이유는 자명합니다. 애초에 미친 목표가 아니면 사람들은 자신의 패러다임 속에서 자기가 할 수 있을 법한 것들을 목표로 생각합니다. 패러다임은 스스로 쉽게 깰 수가 없습니다. 이것을 박스 속에서의 생각이라고 하죠. 반대로 자신의 패러다임을 넘어선 생각을 ‘아웃 오브 박스’라고 합니다.
미친 목표는 박스 바깥의 목표입니다. 의도치 않았지만 우리는 미친 목표 하나를 생각함으로써 박스 바깥에 점 하나를 찍었습니다. 내 현재 위치는 박스 안의 점이고, 박스 바깥에 있는 목표도 점입니다. 점과 점은 선을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선을 가지게 되면 부수적인 효과들이 매우 많이 발생합니다.
목표점 설정으로 생기는 선은 벡터에 가깝습니다. 벡터는 방향성과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밭을 갈 때 우리는 한걸음 앞으로 전진하지만, 저 멀리 있는 나무를 보지 않으면 방향성을 잃게 됩니다. 비뚤거리는 결과만 남게 되겠죠. 아무리 멀어 보이는 목표라도 목표가 찍혀 있는 것과 아닌 것은 제로투원의 차이가 있습니다. 사실 바라보고 가는 목표는 크면 클 수록, 멀리 있을 수록 좋습니다. 이걸 좋은 말로 비전이라고 얘기하죠. 멀리 있는 목표가 좋은 이유는 그 목표를 보고 계속 전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멀리 하늘에 떠 있는 북극성을 보고 항해를 하던 선원들은 북극성에 도달한다는 생각이 아닌 북쪽을 향해서 간다는 생각으로 항해를 했을겁니다.
그리고 목표점은 당기는 힘을 가지게 됩니다. 목표는 우리의 욕망이 투영된 것이므로, 현재에 머물러 있는 우리를 그 방향으로 당기게 됩니다. 현재의 우리는 매우 미미한 존재라 작은 중력을 가집니다. 거대한 목표는 블랙홀처럼 매우 강한 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의 우리는 목표점을 향해 빨려 들어가는 힘을 받게 되는겁니다. 일생을 방황하게 되는 것보다는 목표를 설정해 두고 그 쪽으로 끌려가는 힘을 항상 받고 있는게 훨씬 도움이 되겠죠.
마지막으로는 나의 현재와 최종 목표 사이에 선이 생겼기 때문에 선의 중간중간에 다른 점을 찍을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을 마일스톤이라고 부릅니다. 마일스톤은 목표로 가기 위한 단계들입니다. 최종 목표점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마일스톤을 찍을 수 있습니다. 목표점이 없을 때 찍는 점들은 무의미한 방황들이 되겠죠. 마일스톤은 우리가 달성하지 못하는 거대한 목표 대신에 단기간에 달성해 나갈 수 있는 작은 목표들입니다. 작은 목표들을 달성하며 우리는 성취감을 느끼고, 그것은 다음 마일스톤으로 가는 동력이 됩니다. 마일스톤은 달성하는 그 자체로 우리에게 힘을 줄 뿐 아니라, 하나씩 달성해가면 최종적인 목표에 점차 다가갈 수 있습니다. 마일스톤은 OKR에서 말하는 Key Result와 유사합니다. 상대적으로 단기간이므로 구체적인 결과물을 설정할 수 있고 측정할 수도 있게 됩니다.
님이라는 글자에 점 하나를 찍었더니 남이 되는 것처럼, 박스 바깥에 찍는 점 하나는 이렇게 큰 변화를 가져옵니다. 끌어당김의 법칙을 종교적인 이야기로 이해하는 것보다, 인간의 의지와 목표의식에 대한 이야기로 이해하면 조금 더 믿을만한 이야기가 됩니다. 어딘가에 적어놓고 큰 소리로 외치는 행위는 OKR을 엑셀에 적어놓고 매 분기 확인하고 트래킹 하는 것과 비슷한 얘기죠. 설정한 목표에 대해 잊지 않기 위해 계속해서 보고 외치는겁니다. 설정해 둔 그 ‘점’이 사라지는 순간 모든 것의 무의미해지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