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도입 100%가 어려운 이유
AI를 통해 프로젝트를 100% 자동화하고 싶다는 목표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시대에 접어들었지만, 인간의 감정과 이해관계라는 본질적인 장애물 때문에 여전히 현실화되기 어렵다. 인간은 논리적으로 최선인 선택에 직면했을 때도 자신의 감정적 반응과 본능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이다. 이 점은 감정이 단순히 비효율을 초래하는 요소가 아니라,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로 안토니오 다마지오가 그의 저서 ‘데카르트의 오류’에서 소개한 사례는 이를 잘 보여준다. 전두엽 손상으로 감정적 신호를 처리하지 못하게 된 환자는 논리적 사고와 인지 능력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작은 선택조차 하지 못하는 상황에 빠졌다. 그는 점심 메뉴를 고르는 것처럼 단순한 결정에서도 다양한 옵션의 장단점을 분석하는 데 몰두하며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이 사례는 감정이 없으면 인간이 결과의 가치를 평가하거나 우선순위를 정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준다.
그러나 프로젝트와 같은 업무 환경에서는 이러한 감정적 판단이 긍정적인 역할보다는 장애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상위 목표가 이미 명확히 정의된 상황에서 인간의 감정적 개입은 불필요한 갈등이나 비효율성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AI는 감정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판단을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반면, 인간은 같은 문제를 두고도 이해관계와 감정적 반응으로 인해 갈등을 빚고 비효율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자율주행 기술의 도입 과정이 떠오른다. 기술적으로 완벽에 가까운 시스템이 마련되었지만, 도로 위 다른 운전자가 인간이라는 점 때문에 완전한 구현이 지연되고 있다. 이처럼 프로젝트 자동화 역시 인간의 감정적 특성이 개입되면서 AI의 전면적 도입을 방해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AI를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하려면 감정적 판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AI는 모든 판단과 실행을 담당하고, 인간은 상위 목표를 설정하거나 가치를 기반으로 방향을 제시하는 데만 집중하는 구조가 필요할 수도 있다. 감정은 가치를 정의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데 필수적일 수 있지만, 구체적인 업무 과정에서는 오히려 방해물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사례는 인간의 감정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잘 보여주지만, 동시에 그것이 잘못된 순간에 개입되었을 때 얼마나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도 경고한다. 궁극적으로 AI와 인간의 조화는 감정의 적절한 분리와 통합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인간은 가치를 정하고, AI는 그것을 실행한다는 역할 분담이 생산성의 극대화를 실현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다.
https://craft.morethanair.com/YG4hgJJJI45mg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