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는 시대

https://craft.morethanair.com/wCbIUUhwW0kQnU

우리는 24시간 감시받는 시대에 살고 있다. 스마트폰, AI 스피커, 컴퓨터 같은 기술은 우리의 말을 듣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튜브 영상을 추천하거나 상품 광고를 보여주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예전 같으면 이런 상황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생명의 위협처럼 느껴졌겠지만, 지금은 이를 너무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다.

사람들이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이유는 편리함이 보안에 대한 불안을 압도하기 때문이다. 스마트 기기들은 우리에게 실질적인 편리함을 제공하며, 사람들은 이런 효용을 당연한 대가로 여긴다. 하지만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일어날 위험에 대해서는 쉽게 체감하지 못하거나, 체감하더라도 외면한다. 결국 우리는 이런 구조에 익숙해지며, 데이터 제공을 생활의 일부로 받아들인다.

기업들이 데이터 활용에 대해 “파편화”와 “익명화”를 강조하는 것도 이런 상황을 정당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파편화”는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저장해 특정 개인을 바로 식별할 수 없도록 만든다는 것이고, “익명화”는 데이터와 개인의 연결성을 차단해 프라이버시를 보장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기술은 표면적으로 안전해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파편화된 데이터조차 특정 알고리즘과 기술을 통해 쉽게 재조합될 수 있으며, 익명화된 데이터도 다른 데이터와 결합하면 개인 식별이 가능해진다. 이는 우리가 간과하기 쉬운 치명적인 허점이다.

또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고는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할 수 없는 구조는 사용자에게 사실상 선택권을 박탈한다. 데이터를 거부하면 서비스 이용이 어렵고, 데이터를 제공하면 어떻게 활용될지 알 수 없는 불안감을 안게 된다. 익명화와 파편화라는 이름 아래 우리의 행동과 맥락이 기록되고, 특정 개인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에도,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런 위험을 마주할 능력이나 의지를 가지지 못한다.

결국, 문제의 핵심은 편리함과 보안 사이의 균형이다. 우리는 편리함에 익숙해질수록 데이터를 제공하는 행위의 의미를 점점 가볍게 여기게 된다. 그러나 익명화와 파편화가 반드시 안전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를 통해 기술이 우리의 삶을 향상시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그것이 우리의 권리와 자유를 훼손하지 않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권리, 그리고 데이터를 통제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의가 기술의 발전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다면, 우리는 어느 순간 완전히 통제된 사회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지도 모른다. 지금의 편리함을 위해 무언가를 포기하고 있다면, 그 대가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고민해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