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최측이 없는 행사는 책임지지 않는다는건 정말 궁색한 논리다. 주최측은 행사의 성공을 책임져야 하고, 공공의 안전은 정부가 책임져야지.

내가 아주 잘 볼 수 있는 곳에 이걸 덩그러니 올려둔 의도가 뭐지...

정확하게 맞은 초점과 노이즈 없는 깨끗함이 사진의 예술성을 점차 죽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처음엔 몸을 편히 쉴 수 있는 리클라이너 하나가 있었으면 했다. 아버지가 사용하던 스트레스리스 리클라이너를 중고로 가져왔다. 음악을 좀 더 좋은 음질로 듣고 싶어 울트라손 내추럴 헤드폰을 샀다. 출력이 부족한 것 같아 ifi 그리폰을 샀다. 울트라손으로 좀 부족하지 않나... 젠하이저 헤드폰이 있으면 어떨까 생각이 든다. 돈지랄 3대 취미라는 자동차, 카메라, 오디오에 전부 맛을 들이고 있다.

벤츄라 업데이트를 헀는데, preference가 setting이라고 변한게 가장 적응이 안되는구나... 이 버전에서는 사파리 오류가 좀 줄어들었으면 좋겠네.

시어머니나 직장 상사가 '나랑 있으니까 불편하지?'라고 묻는건, 자신이 불편한걸 모르는건지, 불편하지만 아니라고 답해주기를 바라는건지, 위치에서 오는 불편함을 넘어선 인간적인 교감이 있기를 바라는건지, 도대체 왜 이런 질문을 하는건지 모르겠다.

인간은 3차원 공간에서 x축과 z축으로 움직인다. 때때로 y축을 타고 움직일 때도 있지만, 이건 산이나 계단을 올라간다든지, 비행기를 타거나 도구의 힘을 빌려야 한다. 그런데 새들은 y축을 마음껏 활용해서 날아다닌다. 새들이 날아 다니는 모습을 보면 모든 힘 중에 왜 중력이 가장 약한 힘이라고 하는지 알 것 같다. 조금 가벼운 무게와 날개짓만 있어도 중력은 극복할 수 있는 힘이다. 그 약한 힘도 공중에서 떨어지는 인간에게는 무서운 힘으로 작용한다. 새 뿐만 아니라 y축을 활용하는 동물들이 또 있다. 물 속에 사는 생물들도 자유롭게 y축을 타고 이동한다. 물 위로 떠올랐다가 다시 가라앉는다. 단 공기를 매개로 하는지 물을 매개로 하는지만 다를 뿐이다. 그러고 보면 인간도 물 안으로 들어가면 y축을 활용할 수 있다. 단지 공기 중에서 중력을 이기지 못할 뿐이다. 그러면 우리가 날 수 없다는 것은 공기 속에 살아가는 것을 전제로 하는건데, 공기를 기준으로 하는 것은 필연적일까. 사람이 공기 중에 살아가니까 필연적인 기준점일 수 있겠다. 공기중에서 새들은 날아 오르고, 물고기는 물 속에서 날아오른다. 인간이 날 수 없다는 사실이 상대적으로 조금은 초라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흘러나오는 음악. 따뜻한 보이차. 원목 책상. 또각거리는 적축 키보드. 바깥으로 보이는 아침 햇살. 살면서 이렇게 행복했던 적은 없었던 것 같다. 너무 행복해서 두려울 지경.

복권 당첨 등으로 갑자기 부자가 되는 사람들이 다시 가난한 삶을 살게 되는 경우가 많다. 돈을 점진적으로 벌면서 점차 큰 돈을 소비하는 방법을 배운 것이 아니라, 갑작스레 생긴 큰 돈을 펑펑 쓰다 보니, 복권 당첨만큼의 돈이 생길 일은 더 이상 없는 상황에서, 비정상적으로 소비 습관이 형성된다. 이러면 끝이 안 좋을 수밖에 없지.

각각의 개체는 각자의 욕망을 가지고 있다. 서로의 욕망이 상충되면 죽도록 싸우게 되고, 윈윈 포인트를 찾으면 행복해질 수도 있다. 산책 중 벤치에 앉아 있다가 모기에게 발목을 물렸는데 갑자기 든 생각이다. 모기의 욕망은 피를 먹어서 배를 채우는 것이다. 내 페인포인트는 피를 빼앗겨서 고통스러운 것이 아니라 모기가 문 자리가 가려운 것이다. 모기가 내 피를 빼앗아 간들 얼마나 많이 먹을 수 있겠나. 그렇다면 모기와 나의 윈윈 포인트는 가렵지 않게 모기가 내 피를 빨아 먹으면 그만인건데, 왜 하늘은 모기에 물리면 간지럽게 만들어서 내가 모기를 증오할 수 밖에 없게 되었나 하는거지.

언제부터 한국 대선이 캐삭빵이 되었지...

예전 몰래 카메라가 한참 유행했을 때가 있었다. 그런데 만약 당하는 사람과 방송국도 모두 미리 알고 짜고 치는거였다면, 몰래카메라를 보고 즐거워 하던 시청자가 매번 몰래카메라에 당한 셈인거지?

소비를 할 때, 소비 자체의 즐거움과 소비로 인한 실제 효용이 있는 것 같다. 전자는 필요의 발견, 제품과 서비스를 검색할 때의 설렘, 구매의 쾌감, 택배가 도착할 때까지의 기다림이 모두 포함되고, 후자는 그 제품이나 서비스가 실제 내 필요를 만족시켜주는가 하는 부분이다. 소비의 가치는 전자와 후자가 더해지는 것이지만, 자본주의에서는 오히려 전자가 7이고 후자가 3인 경우도 종종 있는 것 같다. 그래... 쿠팡 로켓 와우 당일 배송 기다리면서 쓴 뻘글이다.

편의점에 택배를 보내러 갔는데, 하나부터 열까지 적응이 안되는거다. 키오스크에 상대주소와 내 주소를 입력하는데 한참이 걸리고, 결제를 하려고 하는데 최근 몇 년 간 삼성페이만 썼던 터라, 실물 카드로 계산을 해야 하는데 어디에 넣는지 알 수 없었다. 주인 아줌마에게 어디다 넣냐고 했더니 한심하는 듯이 알려주었다. 택배는 택배 보관함에 넣으라고 하는데 어리버리 얼을 타면서 보관장 앞에 쌓여있던 바구니에 넣는거냐고 물었다. 아줌마는 또 한심해 하며 장 안에 넣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거면 왜 택배보관 장 앞에 그 바구니를 쌓아둔거야... 오랜만에 원시인이 된 듯한 기분이었다.

아침 산책길에 마주친 고양이다. 어디선가 배운대로 눈을 천천히 감았다 떴다 하며 고양이식 인사를 해봤다. 고양이도 눈을 깜빡인다면 내 인사를 받았다는 뜻이라고 했다. 몇 번 눈을 껌뻑거렸더니 녀석은 뒤도 돌아보지 않고 가버렸다. 고양이한테 무시 당하는 것도 좋은 기분은 아니었다.

가을의 점심시간 8층에서 내려와 땅에 발을 내딛는 순간 흙내음과 각종 냄새들이 섞여서 날아온다. 코를 킁킁거리면 시원한 바람과 함께 냄새가 들어와 기분이 좋다. 이쯤되면 산책을 하며 노즈워킹을 즐기는 것이 개들만의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 아니면 내가 전생에 개였거나... 걸으면서 주위를 둘러본다. 어떤 가게들이 있는지, 어떤 사람들은 어떤 모습으로 걸어가는지. 점차 기분이 좋아진다. 사람은 걷기 위해 태어난 종족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든다. 아프리카에서 코끼리를 쫓을 때부터 새겨진건가 모르겠다.

사람에 대한 의심이 가득하던 표정에서 어느 정도 사람다운 표정으로, 육아의 극한 상황에서 생긴 믿음과 전우애, 별 일 없는 저녁에 산책갈까? 한 마디에 같이 나서는 아내와 딸 둘, 그리고 강아지 두 마리. 행복한 삶.

내 삶은 성공한 삶인가? 성공의 기준은 절대적인가 상대적인가? 성공한 것과 행복한 것은 같은가 다른가? 인생은 반드시 성공한 인생이어야 하나? 딱 하나 정확한 답을 낼만한 것들이 없구나.

누군가가 특정 개념을 지나치게 좋아한다면, 그 사람이 그 개념을 전혀 실천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심하라

누구나 무엇인가 동기부여 된 채로 살아간다. 이미 우리 모두는 동기부여 되어 있기 때문에 남을 동기부여 시킨다는 것은 오만한 생각이다. 다만 그 사람의 동기부여 된 상태를 깨뜨리기는 매우 쉽기 때문에 그것을 조심해야 한다.